투자 일기

인베스팅닷컴 기사 : S&P 500: Ed Yardeni’s $280 EPS Forecast for 2025 - What’s Behind the Bullish View?

쫌치노 2025. 1. 5. 23:42

키워드 S&P500 YARDENI로 찾은 기사.

Published 12/30/2024, 01:59 AM 기사인데, 인상적이라서 기사를 요약해 본다.

 

https://www.investing.com/analysis/sp-500-ed-yardenis-280-eps-forecast-for-2025--whats-behind-the-bullish-view-200655731

 

S&P 500: Ed Yardeni’s $280 EPS Forecast for 2025 - What’s Behind the Bullish View? | Investing.com

Market Overview Analysis by Brian Gilmartin covering: S&P 500, Charles Schwab Corp, ProShares UltraShort 20+ Year Treasury, United States 10-Year. Read Brian Gilmartin's latest article on Investing.com

www.investing.com

 

 

1/

CNBC’s Morning “Squawk Box” 에 Ed Yardeni 가 출연하여, 

 the S&P 500 EPS in 2025 could print “$280’ish” 라고 낙관함.

 

2/ 

그동안의 EPS 예측치는 다음과 같았다.

 

  • 2025: S&P 500 EPS growth (est) +13% (to $275.07 current), S&P total return – unknown.
  • 2024: S&P 500 EPS growth (est) +10% (to $243.94 current), S&P 500 total return YTD +26.79%.
  • 2023: S&P 500 EPS growth +1% to $222.94; S&P 500 total return +26.19%.

3/ 

그동안의 EPS 예측치는 다음과 같았다.

 

4/

이는 트럼프의 감세정택으로 법인세율을 현재의 21%에서 15%~17%로 낮추는 친기업적 정책에 주목했기 때문이다.  

트럼프의 감세정책과 함께 손보려는 것은 재정지출 낭비의 감소이다. 

(사견: 이런 연관관계로 볼 때, 트럼프는 관세만큼 감세도 좋아하는 것을 알 수 있다.)

 

5/ 

미국채10년물수익률은 4.6% => 4.99%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다.

이처럼 steepening 한 채권수익률은 NIM, 즉 단기자금으로 장기대출을 해서 순이자마진으로 수익을 영위하는

은행에게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.

 

6/

an educated guess but a “neutral” fed funds rate 는 2.5% 근방이라고 한다.

 

7/ 

“PE expansion” 및 “PE contraction”은 시장수익률에 큰 영향을 준다.

2025년에는 “PE contraction” 의 한 해가 될 것이라고 한다.   (사견: 채권수익률 상승 때문일 것이다)

즉, S&P500 EPS growth는 10%를 기대하지만, market return 은 10% 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.

 

8/

쓰고 보니 기사가 조금 엉성하거나, 유료 리포트인 야드니 리포트의 내용이 제대로 공유가 안되어서 뭔가 leap of logic이 있다.

 

9/

결론 S&P500 in 2025는 성장한다.   PER 수축으로 저평가를 받더라도 향후 다음 사이클에 PER확장이 적용되면, 2026년에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것이다.